기립성 저혈압 : 샤워하다, 누웠다가 일어나면 어지러워요 원인과 치료법


기립성 저혈압 : 누웠다가 일어나면 어지러워요 원인과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질문]

저희 엄마가 쭈그려 앉아 있다가 일어날 때 어지러워하고, 누웠다가 일어날 때도 어지럽다고 하시네요. 잡자기 일어날 때 눈앞이 빙빙 돌고 현기증이 나서 쓰러질 것 같다고 하세요. 왜 이런 증상이 생기나요? 치료법은 뭔가요?

[답변]

1. 기립성 저혈압이란? 증상은?

기립성 저혈압(起立性低血壓)은 기립할 때 저혈압이 와서 여러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기립은 일어나서 서있는 것을 말합니다. 갑자기 저혈압이 생기면 머리 쪽에 피가 제대로 돌지 않아서 어지럽고 현기증이 나며 머리가 핑 돈다는 느낌이 들고, 두통이 오거나 메스꺼움이 심하고, 심한 경우에 넘어지거나 기절할 수 있습니다.

2. 일어날 때 어지러워요 원인과 메카니즘

사람이 눕거나 앉아있을 때는 심장에서 팔다리로 흘러간 혈액이 다시 심장으로 돌아오는데 중력의 도움을 받습니다. 그래서 심장에 강하게 수축하지 않아도 즉, 혈압이 낮아도 다리에 있는 피가 쉽게 심장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그러다가 갑자기 일어나면 즉 기립하게 되면 다리에 고여있는 피가 심장으로 되돌아오지 못해서 심장으로 오는 혈액이 부족해집니다. 다리에 있는 피를 심장 위치까지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중력을 거스르는 힘이 필요하므로 혈압이 높아져야 합니다. 

혈압이나 심장 기능이 정상인 사람은 자세를 변경하면 바로 혈압이 올라서 머리에 충분한 혈액을 공급할 수 있지만, 평소에 저혈압이거나 운동이 부족한 사람은 필요한 만큼 제 때 혈압이 오르지 못해서 순간적으로 뇌에 피가 부족해집니다.

그 결과 눈앞이 돌고 어지럽고 토할 것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평소 빈혈이 있는 사람은 저혈압이 동반되면 증상이 더 심해집니다.

3. 치료법

(1) 천천히 일어나기

자세를 변경할 때 천천히 하면 심장이 적응해서 저혈압이 생기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이런 증상이 있는 사람들은 누웠다가 일어날 때 또는 앉았다가 일어날 때 주변에 있는 물건이나 벽을 잡고 천천히 일어나도록 합니다.

(2) 짜고 맵게 먹기

평소 혈압이 낮은 저혈압인 사람은 혈압을 올리기 위해서 다른 사람들보다 좀 짜게 먹는 게 좋습니다. 짜게 먹으면 짠맛을 내는 나트륨이 물을 끌어당겨서 삼투압이 높아져서 혈액의 양이 증가해서 혈압이 상승합니다. 

매운 음식을 먹으면 혈액순환이 빨라져서 혈압이 상승합니다. 따뜻한 인삼차나 생강차를 자주 마시면 증상의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3) 붉은 살코기 먹기

평소 식단에 붉은 살코기를 자주 올려서 철분을 보충하도록 합니다. 철분이 부족하면 빈혈이 생기기 쉽기 때문입니다.

(4) 규칙적으로 운동하기

평소에 몸을 너무 움직이지 않아 심장이 단련되지 않는 것이 문제이므로 주3회 이상 규칙적으로 운동을 해서 심장을 단련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 후에는 따뜻한 물에 온수욕을 해서 체온을 올리도록 합니다.

(5) 의욕적으로 살기

해야 하는 일이 있고, 하고 싶은 일이 있는 사람은 저절로 움직임이 많아지고 혈압이 높아집니다. 무기력하게 집에만 있지 말고 목표를 세우고 사회활동을 늘리면 저절로 증상이 줄어듭니다.

4. 자주 묻는 질문

(1) 고혈압 때문에 혈압약을 복용중인데 끊어야 하나요?

평소 고혈압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이런 증상이 잘 생기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립성 저혈압이 생긴다면 고혈압약의 용량이 너무 많아서 저혈압이 온 것이므로 약을 줄이는 게 필요합니다. 

(2) 이 증상에 좋은 영양제가 있나요?

원칙적으로 약물이나 영양제는 필요 없지만 영양제를 복용하고 싶다면 칼슘 보충제가 효과적입니다. 칼슘은 근육의 수축을 증가시켜 혈압을 올립니다. 

그러나 칼슘은 과일이나 채소의 단단한 부분에도 많이 들어있기 때문에 과일과 채소를 먹을 때 껍질을 잘 씻어서 먹으면 됩니다.

(3) 구리팔찌가 효과가 있나요?

구리는 칼슘과 마찬가지로 혈압을 올리고 몸을 따뜻하게 합니다. 양 손목에 구리로 된 팔찌를 착용하면 됩니다.

(4) 일어나다 쓰러진 적도 있는데 병원에서 수액을 맞아도 되나요?

수액을 맞으면 혈관 속으로 다량의 액체가 들어가서 일시적으로 혈압을 높여줍니다. 그러나 혈액 속에 그 액체를 잡아둘 수 있는 물질이 부족하면 곧 소변으로 다 빠져나갑니다. 그러므로 수액을 맞을 때는 그 안에 NaCl(염화나트륨) 성분이 있는지 확인하는 게 필요합니다.

그러나 집에서 국이나 찌개를 짜게 먹고 물을 잘 마시면 수액을 맞지 않아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관련글 : 전문가용] 의학용어 orthostatic hypotension 뜻 기립성 저혈압 원인 증상 치료, 앉았다 일어나면 어지러워요 해결방법

[추천글] 지하철에서 어지럽고 식은땀이 나고 눈앞이 하얘지고 쓰러질 것 같아요 원인과 치료법

기립성 저혈압 : 샤워하다, 누웠다가 일어나면 어지러워요 원인과 치료법
facebook twitter 카카오톡 공유하기 kakaostory naver band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