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장성 두통 : 머리를 누르는 것 같아요 머리에 띠를 두른 것 같이 조여요 원인과 치료법


긴장성 두통 : 머리를 누르는 것 같아요 머리에 띠를 두른 것 같이 조여요 원인과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질문]

요즘 계속 머리가 무겁고 머리띠를 한 것처럼 머리둘레가 조이는 느낌이 듭니다. 또는 누가 머리를 당기거나 머리 꼭대기를 누르는 느낌 같기도 합니다. 이렇게 머리가 아프면 목과 어깨도 아프고 뭉치는 것 같습니다.

최근 스트레스가 심하고 무리를 하기는 했지만 그 전에도 비슷한 증상이 있었습니다. 원인과 치료법을 알고 싶습니다.

[답변]

1. 긴장성 두통 뜻

질문자님의 증세는 전형적인 ‘긴장성 두통’ 증상입니다. 긴장성 두통이란 머리와 목의 근육이 긴장하여 머리와 목을 압박해서 발생하는 두통입니다.

여기서 근육이 긴장했다는 말은 수축했다는 말과 동의어입니다. 그런 이유로 예전에는 근육수축형 두통이라고 불렀습니다.

2. 증상

머리를 둘러싼 근육과 목의 근육이 지속적으로 수축하면서 발생하기 때문에 머리가 지끈지끈하지는 않습니다. 대신 묵직하게 누르거나 조이는 느낌이 듭니다. 

때로는 머리 꼭지에 끈이 달려서 아래로 당기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단순한 느낌인 것만은 아닌 것이 실제로 정수리 한가운데를 만져보면 움푹 들어가 있기도 합니다.

목과 어깨의 근육이 긴장하면 어깨에 바위덩어리가 올려져 있는 것처럼 어깨가 무겁고 돌처럼 단단합니다. 돌처럼 단단하다는 것은 근육의 수축이 심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근육은 수축하면 단단해지고 이완하면 부드러워지기 때문입니다.

3. 긴장성 두통과 고혈압성 두통의 차이

머리가 지끈지끈하는 박동성 두통과는 다릅니다. 지끈지끈하는 것은 맥박이 뛰는 것의 영향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고혈압성 두통일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고혈압성 두통은 혈압이 높아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머리가 터지거나 깨질 듯한 증상이 나타나고, 이부프로펜이나 타이레놀 등의 진통제가 잘 듣지 않습니다.

3. 원인 : 머리와 목의 근육이 긴장(수축)하는 원인

머리와 목의 근육이 수축하는 원인에는 크게 2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추위이고 다른 하나는 스트레스입니다. 

추울 때는 저절로 몸이 움츠러들면서 목뒤의 근육이 긴장합니다. 몸을 웅크리면서 표면적을 줄여서 열의 방출을 막으려는 행동인 것으로 보입니다.

스트레스가 심할 때도 비슷한 반응이 일어나는데 발생기전은 좀 다릅니다. 스트레스가 심하면 말초혈관이 일제히 수축해서 피부 근처의 조직에 혈액공급이 감소합니다.

그리고 스트레스가 있을 때는 몸이 앞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양의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고, 한의학적인 설명만 가능한데 복잡하므로 생략합니다. 

아무튼 몸이 앞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뒷목과 어깨에 힘이 바짝 들어갑니다. 그래야 몸을 똑바로 세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뒷목이 당기고 어깨 근육이 단단해져서 통증이 발생합니다.

4. 치료법

(1) 스트레스 해소

가장 큰 원인이 스트레스이므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이 근본적인 치료법입니다. 사소한 일에 지나치게 신경을 쓰지 말고, 자신에게 압박을 주는 주변 사람이나 상황에 대해 너무 예민하게 반응하지 말고, 인생의 즐거움과 행복을 잊지 않도록 합니다.

이쪽에서 무시하는 것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스트레스에는 정면으로 도전해서 문제의 원인을 제거하도록 합니다. 스트레스 생리학의 연구 결과를 보면 같은 스트레스와 마주했을 때 그 문제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처한 사람이 수동적으로 피하기만 한 사람보다 스트레스가 적었습니다. 

(2) 운동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기

운동과 통목욕을 통해서 체온을 올리면 뒤목의 긴장이 줄어듭니다. 적당한 운동은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지만 지나친 운동은 그 자체가 또 다시 스트레스가 될 수 있으므로 본인이 즐길 수 있을 정도의 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합니다.

또한 추운 날에 운동을 했을 때는 온수욕을 해서 뜨끈한 물에 몸을 담가서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체온을 올리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3) 찬 음식 먹지 않기

체온이 낮으면 목뒤의 긴장이 심해집니다. 추위와 같은 효과입니다. 그러므로 찬 물이나 차가운 음료수, 냉장고에서 바로 꺼낸 과일 등을 먹지 말고 따뜻한 물과 음식을 먹는 게 좋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생강차나 계피차처럼 매운 맛이 있는 차를 마시면 열이 위로 올라서 두통이 더 심해집니다. 대신 둥글레차나 칡차 등을 마시도록 합니다.

(3) 이부프로펜 복용하기

너무 심할 때는 이부프로펜을 복용하도록 합니다. 근육 긴장으로 인한 두통에는 소염진통제가 잘 듣습니다. 타이레놀보다는 이부프로펜이 좋은데 그 이유는 이부프로펜은 타이레놀처럼 간독성이 심하지 않고 또 소염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아스피린은 부작용으로 속쓰림이 심하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습니다. 대신 아스피린은 피를 묽게 만들어서 고혈압성 두통에 잘 듣습니다.

(4) 술, 담배, 커피 금지

술, 담배, 커피는 혈관을 수축시키고 신경을 예민하게 만들어서 증상을 악화시킵니다. 

(5) 마그네슘 복용하기

근육의 긴장과 신경의 흥분은 칼슘이 매개합니다. 따라서 증상이 심한 사람이 칼슘보충제를 복용하고 있다면 복용을 중지하고 대신 마그네슘 보충제를 복용하도록 합니다. 

마그네슘은 천연의 진정제로 근육긴장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숙면을 도와서 스트레스를 줄여줍니다.

좋은 마그네슘 고르는 법

[참고자료] 의학용어 tension headache 뜻, 긴장성두통 스트레스두통 원인과 치료

긴장성 두통 : 머리를 누르는 것 같아요 머리에 띠를 두른 것 같이 조여요 원인과 치료법
facebook twitter 카카오톡 공유하기 kakaostory naver band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