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수세보원 해설 [성명론 3] 동무자주 東武自註 지방은 소음이며 태상절 서방


여기서부터는 동무자주입니다. 앞으로 동의수세보원의 조문에 해당하는 동무자주 원문과 해석을 함께 살펴볼 것입니다. 지방, 인륜, 세회, 천시와 방위의 관계 및 좌우측 눈귀와 손발의 관계를 설명하는 대목입니다.

동무자주(東武自註)는 동무유고에 들어있는 원고 중 하나입니다. 동무유고(東武遺藁)는 이제마가 저술한 여러 분야의 글을 모아 그의 후인들이 편집한 원고모음을 말합니다. 동무유고에는 상소문, 편지, 자식들에게 당부하는 말, 시문 등의 다양한 글이 들어있는데 이제마가 쓴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는 글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동무자주가 발견되었을 때 진위논란이 있었다고 합니다. 동의수세보원에서 볼 수 있는 이제마의 문체가 아니라는 주장이 있었다고 하는데 정확한 사실은 알 수 없습니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이제마가 쓴 게 아닌 것 같습니다. 독창적인 이제마의 사상이 하늘에서 뚝 떨어졌을 리는 없으므로 이제마에게 알려지지 않은 스승이나 조언자가 있었고 동무자주는 그 사람의 가르침을 정리한 내용이고 이제마의 사상은 그 내용을 발전시킨 것일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동무자주는 성명론의 일부에 대한 주석인데 이 내용을 모르고는 동의수세보원을 이해할 수 없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한 단서를 담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연구해야 하는 내용입니다. 동무자주에 대한 탐구 없이 동의수세보원을 읽게 되면 해석이 산으로 갑니다.

[동무자주 원문]
지방즉소음 태상절서방야 인륜즉태음 감중련북방야
地方卽少陰 兌上絶西方也 人倫卽太陰 坎中連北方也

차양방 합진좌상 지유여천부족지방 고일왈지방운
此兩方 闔鎭左上 地有餘天不足之方 故一曰地方云

개태소음인지상초부족 즉천부족서북 이연즉우이목불여좌이목
盖太少陰人之上焦不足 卽天不足西北 而然則右耳目不如左耳目

우이목 태소음인지이목 불여태소양인지이목 이목시청지력불급야
右耳目 太少陰人之耳目 不如太少陽人之耳目 耳目視聽之力不及也
지방은 소음이며 태상절 서방이다. 인륜은 태음이며 감중련 북방이다.

이 두 방향은 닫고 눌러서 좌측으로 상승하니, 땅이 남고 하늘이 부족한 방향이므로 첫째 지방이라 한다.

무릇 태소음인의 상초 부족은 하늘이 부족한 서북방이기 때문에 오른쪽 귀와 눈이 왼쪽의 귀와 눈만 못하다.

오른쪽의 귀와 눈은 태소음인의 귀와 눈이 태소양인의 귀와 눈만 못하니 귀와 눈이 보고 듣는 능력이 모자라다.
[동무자주 원문]
세회즉소양 손하절동방야 천시즉태양 이허중남방야
世會卽少陽 巽下絶東方也 天時卽太陽 離虛中南方也

차양방 벽진우하 천유여지불만지방 고사왈천시운
此兩方 闢鎭右下 天有餘地不滿之方 故四曰天時云

개태소양인지하초부족 즉지불만동남 이연즉좌수족불여우수족
盖太少陽人之下焦不足 卽地不滿東南 而然則左手足不如右手足

좌수족 태소양인지수족 불여태소음인지수족 수족행거지력불급야
左手足 太少陽人之手足 不如太少陰人之手足 手足行去之力不及也
세회는 소양이며 손하절 동방이다. 천시는 태양이며 이허중 남방이다.

이 두 방향은 열고 눌러서 우측으로 하강하니, 하늘이 남고 땅이 불만인 방향이므로 넷째 천시라 한다.

무릇 태소양인의 하초 부족은 땅이 불만인 동남방이기 때문에 왼쪽의 손과 발이 오른쪽 손과 발만 못하다.

왼쪽 손과 발은 태소양인의 손과 발이 태소음인의 손과 발만 못하니 손과 발이 행동하고 움직이는 능력이 모자라다.

[동의수세보원 해설] (겪은 만큼 보이고 아픈 만큼 읽히는 책)
저자 : 이제마
역자 : 김희성
출판일 : 2020년1월8일
출판사 : 부크크
ISBN : 979-11-272-9461-8
가격 : (종이책) 47,000원 (전자책) 36,000원(10% 할인)

여기 있는 내용은 위 책의 (개정판)입니다. 초판의 해설을 수정하거나 추가할 내용만 설명했습니다. 기본적인 해설은 위 책 P. 51~을 참조해 주세요.

복잡해 보이지만 위 내용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지방
地方
인륜
人倫
세회
世會
천시
天時
소음
少陰
태음
太陰
소양
少陽
태양
太陽
태상절
兌上絶
감중련
坎中連
손하절
巽下絶
이허중
離虛中
서방
⻄方
북방
北方
동방
東方
남방
南方
이 두 방향은 닫고 눌러서 좌측으로 상승하니 땅이 남고 하늘이 부족한 방향이므로 첫째 지방이라 한다.이 두 방향은 열고 눌러서 우측으로 하강하니 하늘이 남고 땅이 불만인 방향이므로 넷째 천시라 한다.
무릇 태소음인의 상초 부족은 하늘이 부족한 서북방이기 때문에 오른쪽 귀와 눈이 왼쪽의 귀와 눈만 못하다.무릇 태소양인의 하초 부족은 땅이 불만인 동남방이기 때문에 왼쪽의 손과 발이 오른쪽 손과 발만 못하다.
오른쪽의 귀와 눈은 태소음인의 귀와 눈이 태소양인의 귀와 눈만 못하니 귀와 눈이 보고 듣는 능력이 모자라다.왼쪽 손과 발은 태소양인의 손과 발이 태소음인의 손과 발만 못하니 손과 발이 행동하고 움직이는 능력이 모자라다.

여기 나오는 용어들은 주역의 팔괘를 말합니다. 앞에서 동의수세보원의 사상적 기초는 유학이라고 했는데 유학의 핵심은 주역(周易)입니다. 필자는 동의수세보원 자체가 주역의 상세한 해설서라고 생각합니다.

태상절兌上絶은 주역 팔괘의 두 번째 괘인 이태택二兌澤 ‘☱’의 모양이 맨 위의 효가 끊어져 있는 것을 가리킵니다.

감중련坎中連은 여섯 번째 괘인 육감수六坎水 ‘☵’의 모양이 가운데가 이어져 있는 것을 가리킵니다.

손하절巽下絶은 다섯번째 괘인 오손풍五巽風 ‘☴’의 모양이 맨 아래의 효가 끊어져 있는 것을 가리킵니다.

이허중離虛中은 세번째 괘인 삼리화三離火 ‘☲’의 모양이 가운데가 끊어져 있는 것을 가리킵니다.

사상四象을 팔괘八卦에 대입하면 4개가 모자랍니다. 이를 다시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건삼련
乾三連
태상절
兌上絶
이허중
離虛中
진하련
震下連
손하절
巽下絶
감중련
坎中連
간상련
艮上連
곤삼절
坤三絶
일건천
一乾天
이태택
二兌澤
삼이화
三離火
사진뢰
四震雷
오손풍
五巽風
육감수
六坎水
칠간산
七艮山
팔곤지
八坤地
소음
少陰
태양
太陽
소양
少陽
태음
太陰
지방
地方
천시
天時
세회
世會
인륜
人倫

이 표를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조금 뒤에 소음, 태양, 소양, 태음이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설명하는 대목에서 해당 내용이 다시 나옵니다.

상초부족이나 하초부족, 왼쪽 손발과 오른쪽 손발에 관한 이야기는 현대 의학의 용어를 빌리면 좌뇌형 인간과 우뇌형 인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뇌가 발달한 사람은 좌수족이 발달하여 왼손잡이가 되기 쉽고, 좌뇌가 발달한 사람은 우수족이 발달하여 오른손잡이가 되기 쉽습니다. 이제마는 태소음인은 손발을 잘 쓰니 실행력이 있고 태소양인은 귀와 눈을 잘 쓰니 보고 듣는 능력이 뛰어나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현실에서 관찰해 보면 오히려 양인들이 실행력이 있고 음인들은 생각만 하고 이모저모 따져보다가 용기가 부족해서 실행에 옮기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좌뇌는 분석적이고 부정적이고, 우뇌는 감정적이고 긍정적입니다. 좌뇌가 지나치게 발달하면 교감신경이 항진되어 질병이 발생하고, 우뇌가 지나치게 발달하면 부교감신경이 항진되어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태음인 중에서도 좌뇌형과 우뇌형이 나뉠 수 있고, 어릴 때는 우뇌형이었다가 커가면서 좌뇌형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체질에 따라 좌뇌형과 우뇌형을 일괄적으로 구분할 수는 없습니다.

체질을 알기 위한 공부는 사람을 알기 위한 공부입니다. 이제부터 본인을 비롯한 주변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을 면밀하게 관찰해야 동의수세보원을 이해하는 데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입니다.

동의수세보원 해설 (겪은 만큼 보이고 아픈 만큼 읽히는 책)
facebook twitter 카카오톡 공유하기 kakaostory naver band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