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에 나쁜 음식 4가지 (짠맛, 싱거운맛, 신맛, 지방)


신장에 나쁜 음식 4가지 (짠맛, 싱거운맛, 신맛, 지방)

신부전일 때 먹지 말아야 할 음식에는 크게 2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이온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이고 다른 하나는 산성식품입니다.

1. 신장이 나쁘다는 것의 의미

신장이 나쁘다는 것은 신장 조직이 파괴되거나 기능이 정지되어 신장을 통해 배설할 수 있는 노폐물의 양이 줄어든다는 것입니다.

신장을 통해 배설되는 노폐물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수용성인 물질이 대부분입니다. 일단 물에 녹아야 소변으로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신장으로 배설되는 수용성 물질 중에서 대표적인 것은 이온(ion)입니다. 

인체와 음식에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며 소변을 통해 이온 형태로 배설되는 것에는 수소이온(H+), 나트륨이온(Na+), 칼륨이온(K+)이 있습니다. 이 세 종류의 이온은 음식에 많은 양이 들어있기 때문에 제대로 배설되지 않으면 인체에 바로 문제를 일으킵니다.

2. 신장에 나쁜 음식

그러므로 이 수소이온, 나트륨이온, 칼륨이온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이 신장에 가장 나쁜 음식입니다. 

(1) 싱거운맛, 짠맛이 신장에 나쁜 이유

신부전이 있는 사람은 싱겁게 먹어야 한다는 건 널리 알려진 상식입니다. 소금에 들어 있는 나트륨이 배설이 되지 않으면 나트륨이 물을 끌어당겨서 혈액의 양이 늘어나고 온몸에 부종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짠맛은 나트륨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칼륨에도 있습니다. 보통 소금은 염화나트륨(NaCl)인데 염화칼륨(KCl)에도 짠맛이 있어서 신부전 환자의 소금 대용으로 씁니다.

건강한 사람은 나트륨을 많이 먹었을 때 즉 짠맛을 많이 먹었을 때 칼륨이 많은 채소나 과일을 먹으면 나트륨을 배설할 수 있입니다. 그러나 신장이 좋지 못한 사람은 신장의 배설 능력 자체가 감소했기 때문에 짜게 먹었다고 칼륨이 많은 채소를 먹었다가는 나트륨도 배설이 되지 않고 칼륨도 배설이 되지 않는 상황을 마주하게 됩니다. 

또한 너무 싱겁게 먹으면 이번에는 고칼륨혈증에 시달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칼륨이 많은 채소는 물에 데치거나 담가서 칼륨을 어느 정도 제거한 후에 먹어야 합니다.

그렇다고 언제까지나 그렇게 먹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어느 정도 신장 기능이 회복된 후에는 나트륨과 칼륨을 균형을 맞춰서 섭취하면 채소를 데치거나 물에 담그지 않아도 됩니다.

(2) 신맛이 신장에 나쁜 이유

신부전에 신맛이 짠맛보다 나쁘다는 것은 어느 책에도 나와 있지 않습니다. 신맛은 수소이온의 맛입니다. 음식에 수소이온이 많이 들어있을 때 혀의 미뢰가 수소이온을 감지하면 신맛을 느끼게 됩니다.

나트륨이나 칼륨은 신장이 나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어느 정도는 배설이 됩니다. 말기 신부전이 아닌 이상 나트륨을 많이 먹었을 때는 칼륨을 좀 더 먹고, 칼륨을 많이 먹었을 때는 나트륨을 좀 더 먹으면 둘 다 배설할 수 있습니다. 신장에서 나트륨-칼륨펌프가 나트륨과 칼륨을 3:2의 비율로 교환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수소이온은 100% 수소이온펌프에 의해서만 배설됩니다. 여기서 이온펌프란 세포벽의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이온을 수송하는 구조물을 말합니다. 나트륨-칼륨과 달리 수소이온은 이온 하나 하나를 일일이 능동수송펌프를 통해 배설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에너지가 많이 사용되고 열이 많이 발생합니다.

즉 수소이온은 배설속도가 나트륨이나 칼륨에 비해 느릴 뿐만 아니라 배설하는 데 힘이 많이 듭니다. 수소이온이 배설되지 않으면 몸이 산성화되어 음식의 신맛이 강하게 느껴져서 과일이나 신김치 같은 것을 잘 먹을 수 없게 됩니다.

이것만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닙니다. 수소이온 과잉이 바로 신부전의 두 번째 원인이자 장기적인 원인 중 하나입니다.

수소이온 과잉은 인체를 구성하는 단백질의 입체 구조를 변형시킵니다. 혈액 속에 수소이온이 많으면 혈액이 닿는 혈관내피의 구조가 변형되어 기능을 상실하는데 콩팥은 전체가 혈관덩어리이기 때문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뿐만 아니라 혈중 수소이온 농도를 낮추기 위해서 세포 안에서 칼륨이온이 세포밖(혈액)으로 나오고 세포는 그 대신 수소이온을 흡수하기 때문에 고칼륨혈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됩니다. 그러니까 신부전 환자가 칼륨을 조심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이 신맛 때문입니다. 심한 경우 키위 몇 개 먹고 소변이 안 나오게 될 수도 있습니다.

(3) 수소이온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 : 산성식품

수소이온이 많은 상태를 산성이라고 입니다. 따라서 수소이온이 많은 음식은 산성식품입니다.

산성식품에는 우선 신맛이 강한 음식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신장이 나쁠 때는 오렌지, 레몬, 귤, 파인애플, 사과, 딸기, 키위 등의 과일 등은 많이 먹으면 안됩니다. 증상이 심할수록 적게 먹거나 아예 먹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산성식품에는 고구마가 있습니다. 고구마 먹고 신물이 나고 체한다는 사람이 많은데 그 이유는 고구마가 산성식품이기 때문입니다. 산성식품은 위액 분비를 늘리기 때문에 고구마를 잘못 먹으면 신물이 넘어오게 됩니다. 바나나도 마찬가지입니다.

[추천글] 역류성 식도염, 고구마 먹으면 신물이 넘어오고 체하는 이유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이 많은 음식도 산성식품입니다. 이 중에서 탄수화물은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되어 호흡을 통해서 배설이 잘 되는 편입니다. 문제는 단백질과 지방입니다. 단백질은 몸에 필요한 만큼 적당히 먹으면 되는데 지방은 철저히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지방에 수소이온이 듬뿍, 정말 듬뿍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신부전 투병일기] 신장에 가장 나쁜 음식 3가지 (짠맛, 신맛, 지방)

위 그림은 지방의 구조입니다. H가 수소이온인데 정말 많이 들어있습니다.

신장이 나쁜 사람이 지방이 많은 음식을 먹으면 소변의 양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발에서 열이 나서 밤새 잠을 못 이룰 수도 있습니다. 밤새 수소이온을 배설하느라 신장이 무리를 하고 그 열이 혈관과 경락을 따라 발로 내려가기 때문입니다.

이것도 사실인지 아닌지 검증하고 싶으면 기름기가 많은 음식을 먹어보면 알 수 있습다. 라면, 과자, 치킨, 케이크, 아이스크림, 초콜릿, 버터, 치즈, 요구르트 등을 먹어보면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바로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신장이 나쁜 사람은 신맛이 강한 과일, 고구마(바나나), 지방이 많은 음식을 제한해야 합니다.

3. 신부전은 회복이 가능한가

어느 정도는 가능합니다. 신장은 간보다 회복이 더 빠른 편입니다.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노력하고, 콩팥에 나쁘다는 음식을 줄이고, 알칼리를 보충하면 적어도 투석까지 가지 않고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스트레스가 되는 인생의 문제들이 그렇게 쉽게 해결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완전한 회복을 장담하기는 힘듭니다. 하지만 적어도 채소를 물에 담갔다가 먹어야 하거나, 투석까지 진행되는 것은 막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신장에 나쁜 음식 4가지를 알아보았습니다. 신장에 좋은 음식은 아래글을 참고하세요.

키위 먹고 갑자기 소변이 안 나와요, 신부전에 좋은 음식 나쁜 음식

4. 참고자료

신장에 나쁜 음식

신장에 나쁜 음식 4가지 (짠맛, 싱거운맛, 신맛, 지방)
facebook twitter 카카오톡 공유하기 kakaostory naver band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