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저근막염 : 발바닥 가운데가 아파요 간지럽고 가려워요 원인과 치료법


족저근막염 : 발바닥 가운데가 아파요 간지럽고 가려워요 원인과 치료법

[질문]

1. 발바닥 가운데가 아파요

안녕하세요. 발바닥 가운데가 아파요. 통증이 계속 있는 아니구요, 가끔 걸을 때 오른쪽 발바닥 중앙이 좀 찌릿한 느낌이 있어요. 피부가 찢어지는 느낌 같은데 정확하게 말로 설명하기는 힘드는 통증이 한 번씩 옵니다.

그렇게 아플 때 천천히 걸으면 통증이 사라지는데 이거 뭔가요?

2. 발바닥에 통증이 있는데 족저근막염인가요?

발바닥이 갈라지는 것처럼 아파요. 가끔 당기기도 하는데 이거 족저근막염인가요? 병원에서 물리치료나 체외충격파를 받고 가라고 했는데 싫다고 하고 집에 왔어요. 집에서 혼자 자연치유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3. 발바닥이 간지러워요 너무 가려워요

저는 발바닥이 너무 간지럽고 어떨 때는 너무 가려워요. 습진이나 사마귀도 없고 무좀도 없는데 가끔씩 발바닥이 간지러워서 막 긁어요.

겉으로 보기에는 아무렇지도 않은데 발바닥에서 열이 나는 것 같기도 하고 화끈거리는 느낌도 있어요.

찬물에 담그면 좀 나아지는데 이거 왜 이러는 건가요?

[답변]

1. 무좀, 한포진, 습진, 티눈

보통 발바닥이 가려운 이유는 무좀, 한포진, 습진, 티눈 등이 원인입니다. 발바닥이나 발가락에 물집이 잡히거나 각질이 생기면서 피부가 가려운 느낌이 듭니다. 가끔 알레르기로 인한 접촉성 피부염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질문자님의 피부는 깨끗하다고 하니 이상의 병명들은 모두 배제할 수 있겠습니다.

2. 족저근막염

(1) 의학용어 plantar fasciitis 뜻 족저근막염

족저근막염은 의학용어로 plantar fascia(발바닥 근막) +‎ -itis(염증) = 발바닥근막의 염증이란 뜻입니다.

영어발음은 플랜터 패시아이티스라고 발음하고, 콩글리시로 플란타 파사이티스라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자로는 足底筋膜炎이라고 쓰는데 족저(足底)는 발바닥, 근막(筋膜)은 근육이나 내부 장기를 둘러싼 막, 염(炎)은 염증을 말합니다.

(2) 족저근막염이란?

족저근막염 : 발바닥 가운데가 아파요 간지럽고 가려워요 원인과 치료법

발바닥 근막(족저근막)이란 발바닥의 궁을 지지하는 두꺼운 결합조직입니다. 발뒤꿈치뼈부터 발가락 가운데뼈까지 이어지는 넓은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족저근막이 짧으면 발의 아치(족궁, 足弓)이 높고, 족저근막이 너무 길면 족궁이 유지되지 못해서 평발이 됩니다.

족저근막염은 이 근막이 단축되거나 손상을 입어서 염증이 발생한 것을 말합니다. 족궁이 너무 낮거나 반대로 너무 높을 때 발생하기 쉽습니다.

일시적으로 갑자기 발을 많이 사용한 경우(운동, 오래 서있기, 쿠션이 없는 신발이나 하이힐 착용)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증상

① 발바닥 통증

발바닥을 땅에 디딜 때 찢어지는 통증 또는 갈라지는 통증을 느낄 수 있고, 가만히 있을 때는 통증이 줄어들다가 움직일 때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기상 직후에 심했다가 활동중에는 완화되었다가 오후에 피로가 쌓이면서 심해질 수 있습니다.

② 발바닥 가려움과 간지러움

통증까지는 아니어도 간지럽거나 가려운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원인

서양의학에서는 이 질환의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지 못합니다. 과도한 운동이나 오래 서있기 같은 사건을 원인이라고 꼽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런 일들은 증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은 될 수 있지만 그 자체가 원인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한의학의 이론으로는 설명이 가능한데 발바닥은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이 관할합니다. 즉 발바닥의 문제는 신장(콩팥)의 문제라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신장에 열이 있고 건조한 경우에 신장의 경락이 관할하는 발바닥의 피부나 근막 역시 뜨겁고 건조합니다. 족저근막염이 있을 때 발바닥에서 열감이 느껴지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발바닥이 갈라지는 느낌 역시 근막이 건조해서 세포가 손상을 받는 느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간지럽고 가려운 정도에서 그치다가 증상이 심해지면 바늘로 콕콕 쑤시는 느낌이나 발바닥이 찢어지는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신장에 열이 있고 건조하면 신장경락이 지배하는 경로를 따라서 증상이 나타납니다.

3. 신장에 열이 있고 건조한 이유

스트레스 상황에서 혈액공급의 변화

신장은 스트레스에 민감한 기관입니다. 평소에는 순환되는 혈액량의 20%를 공급받아 혈액을 걸러내는 작용을 합니다. 그러나 스트레스가 심할 때는 순환혈액량의 1%로 극단적으로 감소한 양 밖에 받지 못합니다. 스트레스 상태일 때는 신장을 비롯해서 소화기, 생식기에서 끌어모은 혈액이 뇌와 근육으로 갑니다.

스트레스 상태에서는 전반적으로 인체대사가 항진되기 때문에 신장이 걸러야 할 노폐물도 많아집니다. 할 일은 늘어났는데 혈액량은 대폭 감소했기 때문에 신장에서는 미친 듯이 열이 납니다. 평상시라면 신장에서 열이 나면 혈액이 들어와서 식혀주지만 스트레스 상태에서는 혈액공급이 부족하기 때문에 시장에서 발생한 열을 다 해소하지 못해서 신장에 열이 나고 건조해집니다.

이런 증상을 족심열(足心熱)이라고 합니다.
족심열 : 발에서 열이 나요, 발바닥이 뜨거워요 원인과 치료법

그러므로 족저근막염의 근본적인 원인, 발바닥이 간지럽고 가렵고 아픈 진짜 이유는 스트레스로 인해 신장이 무리를 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스트레스는 정신적 스트레스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스트레스도 포함됩니다. 과로, 피로 누적, 수면부족 등도 오래되면 신장으로 가는 혈액량을 줄입니다. 몸이 힘들어지면서 말초기관으로 가는 혈액량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또한 지방이 많은 음식, 신맛이 강한 음식을 많이 먹었을 때도 발바닥이 가려울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지방이 많거나 신맛이 강한 음식은 산성식품인데 산성 성분을 배출하기 위해 신장이 무리를 하기 때문입니다.

4. 치료법

(1) 스트레스 해소

스트레스로 인해서 신장의 혈액공급이 줄었으니 스트레스를 해소해서 신장이 평상시처럼 혈액공급을 20% 받을 수 있도록 하면 됩니다.

스트레스 반응은 교감신경이 관장합니다. 그러므로 교감신경을 진정시키고 휴식과 수면을 관장하는 부교감신경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근본적인 치료법입니다.

부교감신경을 활성화하는 방법은 아래 자료에 있습니다.
https://medicalterms.tistory.com/19

(2) 휴식과 수면

일시적으로 발과 다리를 많이 썼을 때 발생하는 증상은 휴식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발과 다리를 쉬고 전체적으로 휴식을 취하면 증상이 해소됩니다.

(3) 냉족욕

발이 간지럽고 열이 있으면서 당기고 아플 때는 냉족욕이 좋습니다. 발의 열을 식혀줍니다.

(4) 좋은 음식, 나쁜 음식

신장에 부담을 주는 음식이 나쁜 음식입니다. 지방이 많은 음식, 신맛이 강한 음식이 주로 해당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 있으니 다운로드하세요.

(5) 스트레칭

다리를 펴고 상체를 굽히는 동작, 엄지발가락을 몸쪽으로 잡아당기는 동작 등이 도움이 됩니다. 처음에는 뻣뻣하고 아파서 하기 힘들더라도 천천히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스트레칭을 하면 점차 굳어있던 근막이 펴지면서 통증이 줄어듭니다.

facebook twitter 카카오톡 공유하기 kakaostory naver band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